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부천상공회의소

대한상의포토뉴스

대한상의포토뉴스 상세보기
제목 제39차 대한상의 유통위원회
작성일 2025.03.05

유통업계, 이제는 ‘팬덤의 시대’ 1%에 집중하라


- 제39차 대한상의 유통위원회 개최 ... 소비심리 위축, 고금리·고물가 속 유통업계 대응 방향 논의
- 소비활성화를 위한 유통업계 3대 전략 제시
  ① 대중이 아니라 ‘Fan’을 잡아라 ② 정체성소비에 주목하라 ③ ‘시각적 상징’이 브랜드를 만든다


최근 소비심리 위축과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내수부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유통업계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내수 진작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머리를 맞댔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한 뒤 소폭 회복 중이며, 대한상의의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도 3분기 연속 하락했다. 

* 한국은행 소비자 심리지수(CCSI) : 100.7(‘24.11)→88.4(‘24.12) →91.2(‘25.1)→ 95.2(‘25.2)
* 대한상의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 85(24.2Q)→82(3Q)→80(4Q)→77(25.1Q)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5일‘소비활성화를 위한 유통업계 성공전략’을 주제로 제39차 대한상의 유통위원회를 개최하고 내수회복을 위한 유통업계의 역할과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준호 대한상의 유통위원장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이제훈 유한킴벌리㈜ 대표, 이종호 알파(주) 등 주요 기업 대표 40여명이 참석했다.

① “1% 고객의 마음을 얻어야 모든 것을 얻을 수 있어”

이날 강연을 맡은 김병규 연세대 교수는“불황기에는 브랜드의 충성고객층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며‘팬 브랜드(Fan Brand)' 전략을 강조했다. 김교수는 “모든 소비자를 겨냥하는 마케팅보다는 특정 집단의 열렬한 지지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며, “1% 고객의 마음을 얻으면 99%의 고객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교수는“애플, 테슬라, 스타벅스 같은 성공한 브랜드들은 소수의 핵심 고객층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이 브랜드들은 사회적으로 선망받는 특정집단이 주로 사용하는 브랜드라는 인식이 만들어진 뒤 대중에게 빠르게 확산됐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② “불황속에서도 정체성 소비(identity consumption)는 지속된다”


김 교수는“딜로이트 조사(24년 7월)에 따르면 미국과 비교해 한국소비자들은 한달간 정체성 구매에 8만원, 미국 소비자는 6만원을 써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통해 정체성을 인식하려는 구매가 더 두드러졌다는 조사결과가 있다”며‘정체성 소비(Identity Consumption)’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황기에도 소비자들은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단순한 기능적 이유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욕구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교수는 “이런 점에서 뷰티, 패션, 럭셔리, 피트니스 등 소비자가 자신의 스타일과 능력을 과시할 수 있는 브랜드(상품)가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③ “강렬한 시각적 상징이 브랜드를 만든다”

또한, 그는 우리 유통기업들에게 브랜드의 강한‘시각적 상징(Visual Symbol)’구축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유럽 기업들은 브랜드를 만들 때 강렬한 시각적 요소를 먼저 설계하는 반면, 한국 기업들은 브랜드 이름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며 “소비자가 브랜드를 한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로고, 색상, 디자인 요소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선망성 브랜드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글자보다는 집단의 표식으로 사용되는 그림형태의 로고가 효과적이다”면서 “나이키, 애플, 스타벅스 같은 성공한 브랜드들은 모두 로고가 그림형태다”고 말했다.

정준호 유통위원장은 “유통업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비 흐름을 정확히 읽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전략들이 업계의 실질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장근무 유통물류진흥원장은“고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소비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은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구축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며, “단기적인 마케팅 중심에서 장기적인 브랜딩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전글, 다음글
산업경쟁력 제고와 에너지시장 세미나
제39차 대한상의 유통위원회
대한상의 여성기업위원회 창립총회

부천상공회의소

(우)14611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장말로 289 (심곡동)

Copyright (c) 2017 bucheoncci, All Right Reserved.